수출 초보라면 코트라 KOTRA의 문을 두드려보자.

그동안 아마존 인디아 입점만을 바라보고 제품을 개발해왔는데 이렇게 계획이 어그러지니 기운이 쭉 빠지고 무기력해졌다. 역시 내 마음대로 되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. 움츠러든 나 자신을 다독이면서 주말 동안 일 생각하지 않고 푹 쉬었다. 상황이 힘들지언정 내가 나 자신을 힘들게 하면 안되지 않은가.
나는 다른 사람들에게는 매우 관대하지만 나 자신에게는 다소 엄격하고 야박한 편이다. 내가 잘한 것보다 못한 것에 포커스를 맞추면서 발전하고 성장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편이다. 이러한 면 덕분에 많은 발전을 해오긴 했지만, 나는 나에게 더 따뜻하고 너그러울 필요가 있었다. 지금까지 잘해왔다고 나를 마음껏 칭찬해주었다. 상황이 이렇게 된건 네 탓이 아니니 자책할 필요 없다고 다독였다.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 했다. 나 자신을 따뜻하게 다독여주면서 다시금 다음 스테이지에 나설 수 있는 힘을 낼 수 있었다.
인스타그램에서 팔로워들에게 직접 소량으로 판매하면서 조금 더 제품을 테스트해보기로 했다. 자본금이 부족한 나는 투자자금을 유치해야하는데, 그러기 위해서는 실적이 필요했다. 조그만 시장에서 최소요건 제품(MVP, Minimum Viable Product)을 판매함으로써 내 제품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단계라고 생각했다. 이 과정에서 얻은 피드백을 제품에 또다시 반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. 아마존 같은 오픈마켓에 입점하기 전에 조금 더 테스트해보고 개선하고 준비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다. 조금 더 한 호흡 길게 가져가기 위해 살짝 넘어진 것이리라. 조급함, 항상 그것을 경계해야 한다. 첫 술에 배부르랴. 점이 모여 선이 되고 선이 모여 면이 될 것이다.
일단 팔로워 100명에게 팔아보자,라는 목표를 세웠지만 여전히 준비해야할 것이 많았다. 패키징이나 라벨링, 물류, 통관 등..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는 것들이 너무 많아서 앞이 컴컴했다. 나 혼자서는 역부족이었다. 수출, 무역과 관련된 공공기관 코트라(KOTRA)의 문을 두드려보기로 했다.
먼저 코트라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하고 ‘글로벌 역량 진단’ GLC 테스트를 했다. 나의 기술, 제품, 글로벌 네트워크 등 글로벌 역량을 진단 후 맞춤형 지원을 받을 수 있다. 수출전문위원님도 배정받게 되는데 테스트 바로 다음날에 수출전문위원으로부터 전화가 왔다. 수출전문위원님이 직접 집이나 사무실 근처로 방문하셔서 대면상담을 해준다는 것이다. 컴컴한 어둠 속에서 헤매던 나에게 한 줄기 빛처럼 느껴졌다.